1. 천문학의 정의
천문학이라고 함은 우리가 항상 접하고 있으나 의식하지 못하는 우주의 별이나 행성,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다.
이러한 바깥 현상이라는 것을 예로 들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말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천문학은 우주의 시작 및 진화, 천체의 운동, 물리, 화학, 기상, 진화 등을 그 연구 대상으로 한다.
2. 천문학의 유래
이 천문학은 오래된 학문으로서, 쉽게 말하면 우리에게 익숙한 별자리나 그에 얽힌 전설 같은 민간에서 전래되어 오는 것을 들 수 있으며, 또한 은하수라는 명칭을 우리의 고유어(미리내)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도 이 천문학이 얼마나 오래되었는지를 말해주는 것이다.
또한 은하수에 대한 우리 고유의 표현이 있다는 것은 천문학이 과거 중국에서 영향을 받은 부분도 있겠지만 우리나라도 독자적으로 발전하고 있었다는 것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천문학은 인간이 하늘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면서 가장 일찍 생겨난 학문 중의 하나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인공적인 불빛을 만들어 낼 수 없었던 선사시대부터 밤이 되면 원시인들은 밤하늘의 무수한 별과 달을 보았을 것이며, 낮과는 다른 풍광에 자연스레 호기심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이것은 여러 문명들로도 나타났는데 이집트의 피라미드나 영국의 스톤헨지 같은 천문학적 유물들이 바로 그것이다.
한국에도 비록 시대가 뒤쳐지긴 했지만 신라시대의 첨성대를 예로 들 수 있다.
3. 천문학의 발전
이 천문학은 수많은 다양한 학문으로도 세분화되어 발전했는데 측성학, 역법 그리고 항해술에도 영향을 미쳐, 밤하늘의 별자리를 보고 항해하는 천체 항법에 까지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민간 신앙과 결합하여 점성술이 탄생되기도 하였다.
고대 바벨론 제국과 그리스 그리고 중국, 인도, 이란 및 마야 같은 문명에서는 밤하늘에 대한 많은 기록을 남겼는데, 이러한 기록은 추후 망원경의 발명까지 이어지며 이 천문학은 자연스레 현대 과학인 천체물리학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 천문학 분야는 아래와 같이 두 분야로 나누어지게 되었으며, 이 두 분야는 상호 보완적이다.
- 관측: 천체에 대한 자료를 얻고 이렇게 얻은 자료를 물리적으로 분석함. 이론 결과를 확증해 주는 역할을 함.
- 이론: 천체와 천문학적 현상 등을 컴퓨터를 통해 분석하여 설명하는 모형을 세움. 관측 결과를 설명하는 틀을 제공함.
여러 자연과학 분야 중에서도 특히 천문학은 전문가들의 연구도 활발하지만 아마추어들의 공헌도 크게 작용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 비전문가 집단들은 혜성이나 소행성 및 초신성 등과 같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현상들을 발견하고 관측하여 전문가 못지않은 연구 결과를 내놓고 있으며, 나아가 천문학 발전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한다.
4. 천문학과 점성술
위에서 언급한 천문학은 여러 세부 학문으로 발전되었는데, 이러한 천문학을 민간의 기복 신앙과 결합하여 발전한 점성술과 같은 종류로 이해할 수는 없다.
점성술은 천체의 하늘에서의 위치가 인간의 활동에 영향을 미쳐 한 사람의 미래를 점치는 등의 행위이므로 엄밀히 말해 학문이라 할 수 없으며, 과학이라고 할 수가 없다.
댓글